이번엔 FTP를 설정해 볼 차례이다.
포고를 사려고 했던 목적 중의 하나가 nplayer에서 FTP 등으로 연결해서 컴퓨터를 켜지 않고도 외장하드에 있는 동영상을 감상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사실 앞서의 삼바나 이후에 살펴볼 트랜스미션 보다도 설정에 더 공을 들였다.
하지만 초기에 잘 되던 것이 몇번 재설치를 하면서 꼬이기 시작했고, 이후에 겨우 되살릴 수 있었다.
어쨌거나, FTP 역시 설치이미지에 기본적으로 vsftpd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몇 가지 설정만 바꿔주면 된다.
nano /etc/vsftpd.conf
기본적인 설정은 되어 있으므로 맨 마지막 줄에 allow_writeable_chroot=YES 만 추가해 주고 저장한 뒤 끝낸다.
(YES는 대문자이다.)
그리고 root 권한으로 FTP 접속하는 것 보다는 사용자를 하나 추가해서 그 아이디로 이용하는 것이 좋겠다.
useradd -d [외장하드 경로]/[사용자명] -m [사용자명]passwd [사용자명]
이렇게 하면 사용자명으로 된 디렉토리까지 생성을 하면서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.
그래서 FTP로 해당 사용자명을 이용해 접속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명으로 된 디렉토리로 접속을 하게 된다.
----------------------
※ 참고 : 여러 번 재설치를 한 관계로 이미 동일한 사용자명으로 외장하드에 디렉토리 등이 생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.
그럴 때는 그냥 사용자 추가를 하고 홈디렉토리를 설정해 준다.
useradd [사용자명]passwdusermod -d [외장하드 경로] /[사용자명] [사용자명] -> /etc/passwd 에서도 편집가능
ex)
useradd nekojp
passwd nekojp
usermod -d /media/pogo/nekojp nekojp
그리고, 디렉토리에 대한 소유권과 접근 권한을 준다.
chown -R [사용자명]:[사용자명(사용자가 속할 그룹명)] [외장하드 경로]/[사용자 디렉토리]chmod 755 [외장하드 경로]/[사용자 디렉토리]
ex)
chown -R nekojp:nekojp /media/pogo/nekojp
chmod 755 /media/pogo/nekojp
* 참고 : chown을 실행했을 때 이전에 생성한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많을 경우 시간이 다소 걸릴 수 있다.
nekojp: 만 해주어도 nekojp:nekojp 랑 똑같다.
ls -l /media/pogo/ 를 해보면 아래와 같이 디렉토리의 권한 등이 설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.drwxr-xr-x 처럼 되어 있는 것을 보면 맨 앞의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다.그리고 rwxr-xr-x는 이 디렉토리의 접근권한을 말한다. (파일도 동일하다)처음 rwx 는 소유자의 권한그 다음 rwx는 소유자가 속한 그룹의 권한마지막 rwx는 그 외 다른 그룹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다.(- 로 되어 있는 것은 권한이 없다는 것이다.)r : 읽기권한 (4)w: 쓰기권한 (2)x : 실행권한 (1)지금처럼 rwxr-xr-x 로 되어 있다면 세자리씩 끊어서 그 디렉토리나 파일의 소유자는 읽기,쓰기,실행의 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, 소유자가 속한 그룹에서는 쓰기권한은 없고, 다른 그룹의 사용자들도 쓰기권한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을 숫자로 표현하면 각 권한의 합으로 755가 되는 것이다.
-----------------------
less /etc/passwd 를 통해 홈디렉토리 등이 어떻게 되었는지 한번 살펴보자.
맨 마지막 줄에 자신이 추가한 사용자명에 대한 정보가 보일 것이다.
여기에 경로 등이 지정되어 있다.
※ less 를 종료하려면 :(콜론)을 누른 뒤 q 를 누르면 된다.
이 경로에 /media/pogo/nekojp 과 같이 되어 있다면 FTP로 접속 시 nekojp 의 디렉토리로 접속을 하게 되고, 그냥 /media/pogo 로 지정을 했다면 루트 디렉토리로 접속을 하게 된다.
편의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.
이걸로 FTP 설정은 끝이 났다.
윈도우즈 사용자라면 comta.kr에 소개된 WinSCP(무료) 또는 WS_FTP LE(다운로드 후 1년간 사용가능)같은 것을 쓰면 되고, 맥 사용자라면 transmit(유료)나 Cyberduck(무료)으로 접속해 보자.
다음은 토렌트를 사용할 수 있는 트랜스미션 설정편.
[최종 수정일 : 2013-07-23]
------------------------
[2013-07-26 업데이트] : 모든 설정이 끝났으면 대몬을 실행해야 FT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.
systemctl start vsftpd 를 입력하자.
[2013-07-28 업데이트] : 부팅 시마다 실행되게 하려면 systemctl enable vsftpd
FTP를 실행한 후에 설정을 바꾸거나 하려면 반드시 systemctl stop vsftpd로 종료한 후 변경해야 반영이 된다. 그리고 변경 후에 다시 실행한다.
'리눅스 > 포고플러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포고플러그 시리즈4에 아치리눅스 사용하기 (6) - htop 및 webmin 설치하기 (0) | 2022.10.04 |
---|---|
포고플러그 시리즈4에 아치리눅스 사용하기 (5) -순정 포고플러그 서비스 복구하기 (1) | 2022.10.04 |
포고플러그 시리즈4에 아치리눅스 사용하기 (4) - transmission (0) | 2022.10.04 |
포고플러그 시리즈4에 아치리눅스 사용하기 (2) - samba (0) | 2022.10.04 |
포고플러그 시리즈4에 아치리눅스 사용하기 (1) - 설치 (0) | 2022.10.04 |